본문으로 가기 주메뉴로 가기 카피라이트로 가기

최신장비와 풍부한 임상경험을 통한 치료
복강경, 투석혈관 중재술, 말초동맥 치료,
대장암, 항문질환, 유방, 갑상선

외과는 인체에 대한 각종 수술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야입니다.
부민병원 외과는 복강경 클리닉의 전문화를 위해 첨단장비도입과 최신의료기술을 통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복강경 클리닉(담낭, 맹장, 탈장 등), 투석혈관 중재술, 대장암, 항문질환,
갑상선종양수술, 유방암 등

General Surgery

복강경 수술이란?

전통적으로 복부에 큰 절개창을 열고 시행하는 개복 수술과 달리, 복부에 0.5~1.5cm 크기의 작은 구멍(절개창)을 여러 개 내고, 그 안으로 비디오 카메라와 각종 기구들을 넣고 시행하는 수술 방법으로 '최소 침습 수술'이라고 합니다. 복강경 수술은 전통적인 개복 수술과 비교하여 절개창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수술 상처가 미용적으로 보기 좋고, 창상으로 인한 통증이 훨씬 작습니다. 또한 빠른 회복 속도를 보이므로 개복수술에 비하여 재원기간이 짧고,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치료범위
  • 담석증 수술
  • 장절제술
  • 충수염(맹장염)수술
  • 진단적 복강경술
  • 대장암수술

투석혈관 조성술이란?

만성신부전증 환자가 혈액투석을 할 때 몸에 원래 있는 정맥과 동맥으로 투석을 하기에는 손상과 출혈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정맥과 동맥을 바로 연결하는 투석혈관(동정맥루, AVF) 조성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 투석 혈관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혈관이라 시간이 지날수록 좁아지거나 막히는 등 문제가 생깁니다. 따라서 한 번 만들어진 투석혈관은 가능한 오래 쓸 수 있도록 세심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투석혈관 개통술

혈액 투석을 위해 형성한 투석 혈관의 경우 지속적인 사용을 할수록 혈관의 협착, 폐쇄, 혈전증, 석회화 등이 진행되어 혈류장애가 발생하여 투석을 진행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런 경우 혈관 속에 미세한 카테터를 넣어서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를 치료합니다.

  • 풍선혈관확장술(AVF PTA) : 협착이 발생한 경우 피부를 통하여 혈관에 카테터를 삽입한 뒤, 좁아진 부위에 풍선확장 시술을 시행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스텐트삽입술 : 풍선확장술 후 스텐트 삽입술로 개통성을 호전시키고 원활한 혈류개통을 돕습니다.
  • 혈전제거술
치료효과

치료 전 협착(화살표)으로 투석혈관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아 정맥이 막힌 상태. 치료 후 혈류가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습니다.

투석혈관에 문제가 생겼을 때 증상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초기에 치료해야 합니다.

  • 1. 바늘을 주로 찌르는 부위에서 박동이 느껴진다.
  • 2. 투석혈관의 군데군데가 커졌다.
  • 3. 바늘로 찔러도 피가 나오지 않는다.
  • 4. 팔이 붓거나, 투석 후 지혈이 어렵다.

말초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은 뇌혈관이나 심장혈관을 제외한 팔과 다리 등 신체 말단 부위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힌 상태를 말합니다. 말초동맥폐색증의 경우 다리 동맥에서 발생하는 하지동맥폐색증과 골반 부근 동맥이 막히는 장골동맥 폐색증이 대표적입니다.

말초동맥질환의 원인

대부분은 혈관 내막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좁아지는 상태로 비만, 고지혈증, 운동부족, 흡연, 고혈압, 음주 등이 주요원인입니다. 이외에 혈관의 석화화, 당뇨병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말초동맥질환의 증상
  • 걷거나 달릴 때 다리에 통증이나 경련이 발생하지만 쉬면 증상이 금방 가라 앉는다.(파행)
  • 다리 온도가 차갑고 발가락 색깔이 검으며 발의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
진단 및 검사
  • ABI(발목상완지수검사)
  • 하지혈관 CT
  • 혈관조영술
말초동맥질환의 치료법

약물치료(항혈소판제, 혈관확장제 등), 콜레스테롤 관리, 풍선혈관확장술(Balloon Angioplasty), 스텐트 삽입술, 혈관 우회 수술, 죽종절제술 등

예방법
  • 정기적인 검사 및 진료
  • 금연
  • 나트륨은 하루에 3 ~ 5g 섭취 권장
  • 매일 30분 이상 규치적인 운동적정 체중 유지
  • 폐경기 여성은 심혈관 질환에 쉽게 노출돼 심장질환 정기적인 검진 필요

양성유방질환

유방질환은 양성 또는 악성(유방암)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부분 양성유방질환인 경우가 많으며 단순 섬유 물혹, 섬유선종, 유방염이 대표적입니다. 그러나 정확한 진찰과 검사를 통해 양성유방질환과 유방암을 잘 구별해야 합니다.

양성유방질환의 증상
  • 유방 멍울
  • 유방 통증
  • 유두 분비물
진단 및 검사

유방 조영술(X-ray), 초음파, 자기공명영상(MRI)

양성유방질환의 수술이 필요한 경우
  • 초음파에서 확인하는 양성종양의 크기가 계속 커지거나 성장 속도가 빠른 경우
  • 유방조직 검사는 양성이었지만 초음파 검사에서 악성이 강하게 의심되는 경우
  • 비정상 유방 결절(혹)이 발견된 경우
  • 유방촬영에서 비정상 미세 석회화 병변이 있는 경우
  • 병변의 크기가 커지면서 외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
양성유방질환의 수술 방법

과거에는 유방암 수술과 유사하게 피부를 절개하고 병변을 직접 제거하는 수술 방법을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유방 내부에서 병변을 작게 잘라서 진공 음압으로 빼내는 맘모톰 시술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맘모톰 시술

유방 내부에서 칼날로 양성종양을 조각으로 잘라서 밖으로 꺼내는 시술입니다. 절개 부위가 1cm 미만으로 매우 작고 시술 시간이 30분 이내로 짧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외과적 수술에 비해 통증이 적고 유방의 변형이나 흉터가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진료시간표

진료시간표 정보 제공
구분 진료시간
오전 오후
월요일 09:00 ~ 12:30 13:30 ~ 18:00
화 ~ 금 09:00 ~ 12:30 13:30 ~ 17:00
토요일 09:00 ~ 13:00 진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