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리디스크
주변부의 척추신경을 압박하며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불리는 요추 추간판탈출증은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연골조직인 추간판(디스크)가 어떤 원인에 의해 손상되면서 그 속에 있는 수핵이란 물질이 탈출하여 주변부의 척추신경을 압박하며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 추간판탈출증은 큰 충격이나 반복적인 외상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정상적인 노화 과정에서도 섬유테가 찢어지거나 파열되면서 수핵이 흘러나와 발생하기도 합니다.
- 평소 운동이 부족한 사람은 척추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허리 부위의 근육이 약해져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장기간 잘못된 자세를 가진 사람도 추간판의 혈액순환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척추 주변의 인대나 근육에 스트레스를 주어 추간판 탈출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흡연을 하게 되면 추간판 주위의 미세혈관이 수축되어 추간판의 혈액순환을 악화시키며, 비만일 경우에도 척추와 추간판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기 때문에 허리에 손상을 입을 위험이 커집니다.
- 가족 중에 추간판탈출증을 가진 사람이 여러 명 있다면 발생빈도가 높아집니다.
증상
- 1
- 앉아있을 때, 허리를 숙일 때 심한 허리통증
- 2
- 무릎 아래부터 발가락까지 저리고 당기는 느낌
- 3
- 반대쪽 다리와 감각이 다르게 느껴지는 감각이상
- 4
- 심할 경우 대소변의 장애도 발생
치료법
- 비수술치료 : 약물치료, 스테로이드계 약물주사(추간판탈출부위)
- 수술치료 : 미세현미경디스크수술(MD-Microscopy Discectomy), 내시경고주파레이저디스크수술 (PELD-Percutaneous Endoscopic Lumbar Discectomy), 양방향 척추내시경 신경감압술 (UBE-Unilateral Biportal Endoscope)
예방
- 바른 자세와 적정 체중 유지
- 꾸준한 허리근력 강화운동, 요통체조
- 스트레스와 과로, 술, 담배 피하기
- 정확한 진단을 통한 근본적인 치료
수술 및 시술 시 매우 드물게 출혈이나 감염, 혈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비수술 치료는 주사약물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이나 치료의 과정에서 통증,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척추관협착증
-
척추전방전위증
-
척추압박골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