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RCP)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은 흔히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angiopancreatography)로 불리는 시술입니다.
일반적인 위·대장내시경과 달리 십이지장경과 방사선투시기를 이용하여 십이지장 유두부를 통해 담관 및 췌관을 조영하고 검사하는 시술입니다. 충분한 수련을 받은 췌장담도 전문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술입니다.
적응중
- 담석이 담관을 막아서 생기는 급성담관염
- 담석으로 인해 발생한 급성췌장염
- 췌장암, 담도암, 유두부암 등으로 담관이 막혀 황달이 발생한 경우
- 복부 수술 과정에서 담관의 손상이 발생하여 담즙의 누출이 있는 경우
- 십이지장 유두 괄약근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복통
- 담관 · 췌관의 선천성 기형이 의심될 경우
-
내시경초음파검사
내시경초음파검사는 내시경검사와 초음파검사를 조합시킨 진단 장치로 내시경 끝부분에 장착된 고주파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소화관과 주변 장기의 병변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초음파검사나 전산화단층촬영술, 자기공명영상진단법 등의 고식적인 검사방법으로 진단이 힘든 췌장의 작은 악성 종양의 진단을 위하여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복부초음파보다 검사하고자 하는 장기에 근접해서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복부초음파로 접근이 어려운 부위까지도 가까이 접근하여 조직검사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세침흡인검사나 배액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내시경초음파 유도하 배액술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배액술은 선형배열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하여 배액이 필요한 부위를 관찰한 후, 세침흡인바늘을 이용해 천자를 시행해 병변내 액체를 흡인 및 배액관 삽입을 하는 시술입니다. 주로 췌장의 가성낭종의 배액술에 사용되나 최근에서 급성 담낭염의 치료, ERCP로 접근이 어려운 황달환자의 담즙배액술, 경피적 접근이 어려운 복강내 농양 배액술 등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소장캡슐내시경검사
기존의 소화관 내시경검사로는 식도, 위, 십이지장의 일부와 대장만 검사가 가능했고 소장을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소형카메라가 장착된 작은 캡슐이 개발되어 이를 삼킴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소장검사가 가능해졌습니다.
검사방법
100원짜리 동전보다 작은 크기의 캡슐 내부에는 카메라, 전송장치, 플래시가 내장되어 있어 캡슐을 삼키면 소화관을 지나면서 카메라가 내부를 촬영하여 컴퓨터로 전송합니다. 캡슐내시경을 삼키고 일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검사가 진행되므로 불편감 없이 검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