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시간 혈압검사
일상생활 중
혈압과 맥박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하는 검사법고혈압 진단, 혈압약 복용 후 판정에 유용한 검사입니다. 집과 병원에서 재는 혈압이 다를 경우에도 24시간 혈압측정 검사를 시행합니다.
적응증
- 심혈관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심혈관질환의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 가슴통증, 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러움, 만성피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 흉부 X-ray 검사 및 심전도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보일 경우
- 심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과질환이 있는 경우 (당뇨병, 갑상선질환, 만성신부전 등)
검사 방법
손바닥 크기의 혈압계를 목에 걸고 생활합니다. 24시간 동안 진행되는 검사로 기계 부착 다음날 같은 시간에 검사실에 방문하여 기계를 제거합니다.
-
24시간 심전도 검사
심장검사 중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심장에서 나오는 신호를 기록하여 심장 이상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적응증
- 심혈관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심혈관질환의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 가슴통증, 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러움, 만성피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검사 방법
가슴주위 4군데 심전도 패치를 부착하고 심전도계는 목에 걸고 생활합니다 24시간 동안 생활하면서 증상이 있을 때마다 시간, 행동, 증상을 기록하며 다음날 같은 시간에 검사실에 방문하여 기계를 제거합니다.
-
심장초음파 검사
심장의 움직이는 내부모습을
단층으로 촬영하는 검사로심장내부 판막, 심장혈액읨 흐름, 심장을 싸고 있는 심낭질환, 심부전 등을 쉽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 심장의 반응을 초음파 영상으로 관찰하는 부하 심장초음파 검사가 가능해 진단율이 더욱 향상 되었습니다.
적응증
- 심혈관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심혈관질환의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 가슴통증, 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러움, 만성피로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 흉부 X-ray 검사 및 심전도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보일 경우
- 심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내과질환이 있는 경우 (당뇨병, 갑상선질환, 만성신부전 등)
검사 방법
침대에 왼쪽 측위로 누운 체로 검사하며 검사 시간은 개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20~30분간 소요됩니다. 검사 2시간 전부터 커피, 담배를 피해야합니다.
-
운동부하 검사
심전도와 혈압계를 부착한 후 환자로 하여금 운동하도록 하여 심전도, 심박동수 및 혈압의 변화를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협심증과 부정맥을 진단할 뿐만 아니라 장병 환자의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입니다.
적응증
-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 운동 유발성 부정맥을 진단하는 경우
- 안정형 협심증 및 급성 심근경색에서 회복된 환자의 예후 평가 및 운동능력 평가
-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이나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 후 평가
- 심장 판막질환 환자에서 운동능력 평가
검사 방법
팔에 혈압계, 가슴에 심전도를 부착한 후 단계적으로 운동량을 증가시키면서 심박동수 및 심전도의 변화를 관찰합니다. 검사 소요 시간은 약 30분입니다.
-
CT(전산화단층촬영) 검사
CT(전산화단층촬영)검사는 회전하는 X선관과 검출기를 이용해 인체내부를 단면으로 잘라내어 영상화하는 검사법입니다.
뇌혈관질환 환자 내원 시,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
MRI(자기공명영상) 검사
뇌조직의 손상 정도를
검사하는 방법CT에서 잘 반영하지 못하는 천막하부(소뇌, 중뇌, 연수)를 세밀히 보여주고 뇌경색, 뇌종양, 치매 등의 뇌형태 이상을 초래하는 이상 소견을 확인하는 검사방법입니다.
-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검사
MRI장비를 이용하여 두경부 혈관 검사를 하는 방법
뇌혈관을 세밀하게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뇌혈관의 세밀한 형태나 뇌혈관 내 혈류의 흐름검사 기타 부위 정밀 혈관 및 혈류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
뇌혈관조영술
대퇴동맥을 통해 관을 삽입하여 조영제를 주사하고,
X-ray를 이용한 촬영검사를 통해 뇌혈관의 폐색, 협착부위 등을 확인하여 치료하는 시술방법으로 뇌혈관 질환의 진단과 시술을 위한 가장 정확하고 안전한 방법입니다.